서울 심야 자율택시·버스 지역 확대…경주 APEC 정상회의서 셔틀 운행
새벽 시간에 투입되는 서울 자율주행 버스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국토교통부는 올해 서울과 세종, 경기 성남시 판교, 안양, 충남 천안, 경북 경주, 경남 하동, 제주 등 7곳의 지방자치단체에 자율주행 서비스 운영비 총 26억원을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자율주행 대중교통 수단을 보급해 국민의 이동 편의와 자율주행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지원사업'에 따른 것이다.
우선 서울에서는 강남권을 중심으로 심야·새벽 시간대 자율주행 서비스를 확대 운영한다.
현재 강남 역삼·대치·도곡·삼성과 서초 일부 지역에서 제공되는 심야 택시 서비스 지역을 강남 논현·신사·압구정·청담까지 넓힌다. 택시도 3대에서 7대로 늘린다.
새벽 첫 차에 투입되는 자율주행 버스는 현재 도봉∼영등포(160번)에서 1대만 운영되고 있는데 은평∼양재(741번), 금천∼세종로(504번), 상계∼고속터미널(148번) 등 3대를 추가한다.
자율주행 택시
[국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경기도는 판교에서 도시첨단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한 노선버스, 안양에서는 주간·심야 노선버스를 도입한다. 세종은 광역 자율주행버스(BRT정거장)와 주거단지를 잇는 자율주행 라스트마일(최종 목적지까지 향하는 길) 서비스를 운영한다.
하동에서는 많은 짐을 들고 병원이나 시장, 복지회관 등을 찾는 고령층의 주민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짐칸을 갖춘 농촌형 자율주행 노선버스를 도입한다.
경주 APEC 자율주행 셔틀
[국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외에도 경주시는 올해 10월 개최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회의장과 숙소 사이를 이동하는 자율주행 셔틀을 운영, 전 세계에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일 계획이다.
제주도는 제주에서 서귀포를 잇는 노선버스로 관광객에게 이동 편의를 제공한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자율주행은 이미 우리 일상 속 이동 수단으로 활약하고 있지만 국민 체감도는 아직 낮은 상황"이라며 "자율주행 신기술·서비스의 도전적 실증을 통한 산업 성장을 지원하고 국민의 편의를 높여 자율주행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sh@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