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가 생기는것은 강 안으로 영양염류가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야.
그러면 합천창녕보 주변의 오염원을 봐야하는데,
A에 있는 지류의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삼투압에 의해서 밭에 있는 영양염류가 유입되면서,
영양염류 농도가 풍부해지는데, 이 물을 B를 통해서 낙동강에 방류하면
영양 염류가 C 지역 전체에 흡수되기 시작하는거지.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어있는 영양염류가 매우 많아져서, 녹조가 심각하게 발생하는거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방뒤 A 지역을 깊게 파고, 슈퍼 콘크리트로 미장해서, 집수정을 만들고,
수처리 시설을 소규모로 만들어서, 미생물을 투입하고, 산소를 투입해서 총인 처리를 하고,
침전된 미생물이 혼합된 물을 비료로 재활용하고, 깨끗한 윗물만 총인 처리후 방류하도록 하는거지.
지천 지류 정비 할때 이렇게 각각 오염원에서 영양염류가 풍부한 물을 강으로 방류하지 못하고, 총인 처리를 할수있게
시설화를 해야 하는데, 밭을 높이고 지류 수위를 낮춰두는거지.
그 다음 물 사용량과 비료 사용량을 제한하고, 그럼에도 지류로 흘러들어온 물을 총인 처리후 영양염류를 재활용하고,
깨끗한 물만 강으로 유입시키는거야.
만약에 비가 많이 오는경우, 이 집수정에 펌프를 가동해서 낙동강에 물을 방류할수있는데,
이때 지류에 설치된 집수정의 크기가 어느정도냐에 따라서, 지하 방수로 수준이 되겠지.
여기도 이중보 침전지와 같은 개념인데, 제방 뒤에 침전지를 만들고, 그 뒤에 보를 하나 세우는거지.
오픈형 지하 방수로라고 할수있어. 그러면 홍수,침수 피해를 막고,
지류 수위 조절이 가능해지고 영양염류를 총인처리후 물을 방류할수있는거지.
강에 녹조가 생긴다는것은 강 주변의 오염원으로부터 영양염류가 많이 유입되었다는것을 의미하는거야.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