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을 가진 소형 행성을 만들어볼껀데,
인공 중력이 무엇인지, 지구에서 중력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이것을 먼저 알고 가야겠지.
현대 물리학계에서의 중력은 만유인력으로 설명하고있어.
지구을 구성하는 물질이 다른 물질을 당긴다고 설명하는거지.
하지만 사실이 아니야.
그러면 지구가 어떻게 중력을 가지게 되었을까?
초창기 거대한 두 물질의 충돌로 인해서, 잔해가 생기는데,
이 잔해가 퍼져나가면서 재 충돌이 여러번 일어나고 시간이 지나 안정되면 은하계가 만들어지는거야.'
그때 그 잔해중에 일부였던 태양계의 지구도 항성이였어,
항성이였던 지구가 핵융합과 핵분열을 통해,
물질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공간을 당기게 되었고, 그때 중력이 만들어진거야.
그리고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며, 1/1000배로 부피가 작아지면서 공간에 작용하는 중력이 더 커지게 된거지.
지구에서 중력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용해서,
중력을 가진 소형 행성을 만들어 볼껀데,
투명한 특수형 구의 형태의 구체를 만드는거야.
이 안에는 진공 상태인데, 온도 100도가 넘어가는 수증기를 가득체우는거야.
그리고 압력 밥솥에서 사용하는 증기 배출구를 설치해서, 계속 가열해,
내부에 수증기가 50% 이상 빠져나가게 만드는거야.
그 다음 식히게 되면 기체가 액체로 변하면서 부피가 1/1000배로 작아지게 되면서
인공 중력이 더욱더 커지게 되지.
여기서 좀 더 심화적으로 다뤄야 하는 내용이있는데,
설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주사기로 설명할껀데,
주사기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최대치까지 당기는거야.
그리고 이 주사기를 무중력의 진공의 공간으로 가는거지.
그리고 손으로 막고있던 입구에서 손을 치우는거야.
그리고 작은 물질이 주사기 입구에 닿으면 주사기의 중심으로 끌려가지.
이때 중력원은 주사기 당김세를 당긴 힘이야.
그 다음에는 이 주사기 당김세를 놓자. 당김세가 다시 밀려들어가면서, 입구를 막고 당기기전 상태로 돌아가는거지.
새로운 주사기를 꺼내는거야. 이번에는 고무 마킹 부분을 뒤에서 끼우는거지.
그러면 처음과 동일하게 주사기를 당겼을때와 같은 형태의 주사기가 만들어지고,
내부에는 진공의 공간이 되지.
그런데 이 주사기는 특이하게, 주사기 입구에 물질을 가져다둬도 내부로 끌려가지 않는다는거야.
중력원이 없기 때문이지.
그래서 이 두 주사기를 우주선으로 가져가게 되면, 주사기 안으로 공기가 들어가는데,
첫번째 주사기에서는 주사기를 당길때 만들어지는 중력의 힘과 기압 차이의 힘이 합쳐져서 공기가 들어간 반면,
두번째 주사기에는 기압 차이에 의한 힘만으로 공기가 들어오는거야.
미세한 차이겠지만 완전히 다른거지.
물론 공기가 가득 차게 되고, 주사기 당김세를 놓게 되어서 무중력이 되면 동일한 주사기가 되는거야.
그래서 일정한 공간 안에서 물질을 수축시켜, 공간을 집어 당기게만 하면 중력이 만들어지는거지.
지구에서 이렇게 수증기를 가득 체운 상태에서, 수증기를 차갑게 만들어, 물이 되는 과정에서,
물질이 수축되고, 진공의 공간이 팽창되면서, 중력을 가진 구체가 만들어지게 되었어,
하지만 지구의 중력에 의해서 물이 밑 바닥에 쌓이게 되고, 나머지 공간은 진공 상태가 되어있는거지.
이 구체 안에서는 자체적으로 만들어진 인공 중력에 지구의 중력이 합쳐져서 작용하고 있다는 말이야.
그래서 이렇게 제작된 특수한 구체를 지구의 중력이 미치지 않는
지구와 우주의 경계면인 카르마 라인을 넘어 무중력의 공간으로 가져가는거지.
그리고 그 구체 내부를 보게 되면,
이렇게 물이 위로 떠오르는거야. 물 구체 주변에는 진공의 공간이고,
지구와 우주의 경계면, 즉 중력이 미치는 범위가 저 구체에서는 구체인데,
저 구체를 완전 진공 상태인 우주선 밖으로 가져 나가는거지.
그리고 그 구체를 깨트리는거야.
그러면 내부의 공간에는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파편이 내부로 끌려가게 되겠지.
그런데 중력이 작용하는 공간에서 밀도차이에 의해서 부력이 작동하기 때문에,
깨진 파편의 밀도가 물보다 높다면 파편과 물이 닿는순간, 파편이 내부의 중심으로 끌려가게 되고,
물은 그 파편 위로 가게 생기겠지.
이때 레이저로 파편을 가열을 하는거야. 그러면 중력에 의해서 구의 형태의 물질이 만들어지게 되는거지.
그리고 이때 물이 수증기가 되면서 대기층을 형성하고, 식으면 다시 액체가 되는데, 여기에 산소를 투입하는거야.
그러면 소형 행성 중심에는 파편이 열에 의해서 성형되어 구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그 위에 물, 수증기, 대기층 있는 소형 행성이 만들어지는거지.
달을 테라 포밍하려면 달의 중력을 지구처럼 키워야 되는데, 소형 행성을 만드는 원리로 중력의 힘을 키울수있어.
목성의 경우, 고리가 존재하지. 목성이 가열되면서 수증기가 중력권 밖 외부로 분출되었고,
식으면서 얼음 조각 고리가 만들어졌는데,
이 고리 하나하나가 기체에서 얼음이 되는 과정에서 수축 과정을 거쳐 중력을 가진 얼음 행성들이라는거지.
이 행성들이 목성의 중력권에 닿게 되면, 목성이 중력이 미치는 범위가 미세하게 커지게 되지.
이것은 원자력 발전소를 개조한 수증기 발생기인데,
달 표면에 있는 유리 성분들을 물로 바꿔서, 물을 저장해두고, A-1과 A-2 배관을 통해, 물을 B 원자력 발전기에 투입하는거야.
핵분열이 일어나면서 물을 수증기로 만들게 되면, 그 수증기가 C를 통해, 배출되는거야.
높은 압력으로 분출시켜서, 목성처럼 인위적인 고리를 만드는거야.
목성은 어느정도 만들어진 이후에 멈췄지만. 달에서는 계속 끊임없이 분출시키는거지.
그러다 보면 고리가 서로 닿게 되고, 하나의 소형 얼음 행성이 만들어지는데,
이 소형 얼음 행성이 달의 중력권에 닿는순간, 액체가 끌려들어오고,
달의 중력이 미치는 범위가 그 구의 만큼 커지는거야.
만약에 달이 고체가 아니라 액체였다면 변경된 중력에 의해서, 구체가 변하겠지만,
고체가 있는경우, 그렇지 못한거지.
A는 달인데, B는 액체 소형 행성이야. 그리고 충돌하자마자, 중력이 미치는 범위가 커지게 되고,
B의 물이 중력에 의해서, A 방향으로 끌려가지.
그러면 B 부분이 중력이 미치는 범위가 구의 형태가 아니라 이상한 경계면이 만들어지는거야.
왜냐면 완전한 구의 형태가 만들어졌을때는 핵융합과 핵분열을 통해, 물을 수증기로 데워서,
점증적으로 팽창하면서, 수축해, 완전한 구의 형태를 이룬 반면,
중력을 가진 물질간의 충돌에 의해서, 중력이 미치는 범위가 달라졌다는거지.
그러면 중력의 구멍이라고 불리는 저중력의 공간 A가 존재하는데,
이곳은 소형 행성이 충돌해서, 지구의 중력이 미치는 범위가 늘어난 곳이지.
중력이 갑자기 약해진거야.
근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충돌한 소형 행성의 중력이 지구보다 작았다는거야.
달의 1/10배 정도 되는 소형 행성이 지구와 충돌했는데,
이 행성의 중력이 지구보다 10배 더 강한 중력을 가지고있었어,
그리고 충돌을 하게 되면 충돌한 물질의 중력이 미치는 면적 만큼 그 부분이 확장되는데,
10배 더 강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중력의 구멍에서 오히려 더 높은 중력이 관측될꺼라는거지.
하지만, 면적 대비 중력이 1/10배로 작은 물질이 충돌하게 된 경우,
중력이 미치는 면적은 넓어지는데, 중력의 힘이 작아지면서 그 공간의 중력이 작아지는거야.
만약에 중력의 구멍을 뚫어서, 반대편까지 뚫어서, 중심을 찾는다면,
위도적으로 좀 더 높은곳으로 변경될꺼라는거지.
달의 대기를 가열해서 1800배 팽창 시킨후, 자전시키면서 점증적으로 중력이 미치는 범위를 키워,
완전한 구의 형태로 행성을 만들거나, 이런식으로 행성 결합을 통해서,
미세하게 중력이 미치는 범위와 힘을 키워나가는거지.
그렇다면 달의 중력보다 더 강한 중력을 가진 소형 행성을 만들어서, 달과 충돌시켜야, 달의 중력이 커지는거야.
달의 중력보다 작다면 면적은 커지는데, 중력은 오히려 작아진다는거지.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