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尹 대통령과 통화할 때 조선업을 콕 집어 도와달라고 했다니 우리도 핵개발이나 아니면 방위비 분담금과 연계해서 대응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트럼프가 장사꾼의 기질을 발휘할 때 우리도 장사꾼의 기질로 맞서야 할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7일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과 선박 건조 능력을 잘 알고 있으며,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MRO(유지·보수·정비) 분야에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을 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 조선업의 협력을 요청했다. 당선 직후 한국 대통령과 통화에서 여러 산업 중 ‘K조선’을 콕 집어 언급하며 ‘SOS’를 요청한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배경에는 미국의 조선업 붕괴에다 중국과의 해양 패권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안보 위기감이 깔렸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핵잠수함 등 최첨단 기술을 지녔지만, 선박을 만들고 수리하는 조선업 생태계는 사실상 명맥이 끊겼다. 세계 선박 건조량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0.13%(2023년)에 그치고, 잠수함 수리는 몇 년씩 대기해야 하는 실정이다.
미 싱크탱크는 중국 조선업 규모가 미국의 230배에 달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이런 이유로 미국 의회도 지난 4월 ‘미국 해양 경쟁력 복원 방안’ 보고서를 통해 동맹국과 협력 확대를 권고했다. 이미 한국 조선 기업은 미 현지 조선소를 인수하고, 미 MRO 사업을 수주하는 등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당시 50여 개 조선소에서 연간 1000여 척 넘는 선박을 만들며 승리했다. ‘미국에서 만든 선박만이 미국 항구에서 자국 다른 항구로 운항할 수 있다’는 존스법으로 자국 조선업도 육성했다. 그러나 내수 시장에 만족한 미국 조선소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잃어 버리는 사이 일본, 한국, 중국에 차례로 시장을 내줬다.
조선업 붕괴는 해군 군사력 약화로 직결됐다. 2021년 10월 좌초된 핵 추진 공격 잠수함 코네티컷함은 20개월을 기다리다 겨우 수리에 착수했는데, 수리 기간만 최소 31개월이라고 한다. 미 고속 공격 잠수함의 약 40%가 수리 중이거나 유지·보수를 대기하고 있다는 통계도 있다. 선박 건조 능력 세계 1위인 중국과 경쟁에서 항공모함 수는 11대3으로 미국이 앞서지만, 전투함 숫자는 370척 대 280척으로 역전됐다.
이 때문에 최근 미국은 한국에 적극적으로 협력을 요청하고 있다. 올해 초 한국 조선소를 직접 찾은 미 해군 고위 관계자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한국) 조선사를 유치해 미국 자회사, 조선소에 투자할 기회가 있다”고 했다.
트럼프의 ‘조선업 SOS’에 따라 향후 한국 조선사의 MRO 수주 확대, 현지 조선소에서 군함을 직접 수주할 가능성도 커졌다는 평가다. 미 해군 MRO 시장 규모는 연간 20조원이다.
0/2000자